반응형 공조냉동기계기사42 공기조화 - 펌프와 송풍기 동력 (출력) 단위 정리 (kW, PS, HP) 공기조화 - 펌프와 송풍기 동력 (출력) 단위 정리 (kW, PS, HP) 저는 펌프, 송풍기의 동력을 구할 때 102나 75를 나눠주지 않습니다. kgf랑 N이 섞여있는 단위변환계수여서 맘에 안듭니다. (까칠) 펌프의 전양정이 31m, 물의 유량이 400L/min이고, 펌프의 효율은 1일 때, 펌프의 축동력 [kW]을 구하시오 라는 문제가 있습니다. kW단위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kW은 kJ/s이고, kN m/s입니다. 펌프의 축동력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단위는 저렇게 맞춰주시면 됩니다. 1. 물 비중량 물의 비중량의 단위변환입니다. kN이 필요하니 9.8kN/m^3을 사용합니다. 2. 물 유량 유량입니다. 문제에서 400L/min으로 주어졌으니 이렇게 단위변환을 해줍니다. 이대로 문제를 풀어보면 .. 2020. 11. 16. 공기조화 - 가열, 냉방, 가습할 때 습공기선도 공기조화 - 가열, 냉방, 가습할 때 습공기선도 습공기선도 읽는 건 필기시험에서도 나오고, 실기시험에서도 나옵니다.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먼저 습공기선도부터 보겠습니다. 대충 이렇게 생겼습니다. 온도t와 습도x, 엔탈피h만 보면 됩니다. 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커집니다. G는 공기 순환량입니다. [kg/h] [kg/s]입니다. r은 공기 비중량입니다. 1.2kg/m^3입니다. Q는 공기 유량입니다. [m^3/h]입니다. G=rQ입니다. (Cp는 공기 정압비열입니다. 1.01kJ/kgk입니다.) 1. 가열 가열할 때 입니다. 가열을 현열입니다. 온도만 변합니다. 습도는 안변합니다. Heating Coil이여서 HC로 씁니다. 2. 가습 가습할 때 입니다. 가습은 잠열입니다. 습도만 변합니다. 온도는 안변합.. 2020. 11. 15. 냉동공학 - 증발압력 조정밸브 EPR 작동 원리 냉동공학 - 증발압력 조정밸브 EPR 작동 원리 대충 그려본 냉동기 계통도입니다. 고압 증발기 쪽에 그려져 있는 애가 증발압력 조정밸브입니다. EPR입니다. 1. EPR의 역할 증발압력 조정밸브는 증발기가 여러 대 있을 때 설치해줍니다. 고압 증발기 쪽의 증발압력이 과도하게 낮아지는걸 방지해줍니다. 이렇게만 말하면 이해가 안갑니다. Ph선도입니다. 증발기가 여러 대 있을 때의 Ph선도는 이렇게 그려집니다. gallery-k.tistory.com/147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증발기가 여러 대 있는 경우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증발기가 여러 대 있는 경우 의 계통도와 Ph선도입니다. 증발기가 여러 대 있을 때는 EPR이라는 증발압력조절밸브가 달려있습니다. 1. 증발압.. 2020. 11. 13.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증발기가 여러 대 있는 경우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증발기가 여러 대 있는 경우 의 계통도와 Ph선도입니다. 증발기가 여러 대 있을 때는 EPR이라는 증발압력조절밸브가 달려있습니다. 1. 증발압력조절밸브 EPR 증발압력조절밸브는 증발압력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는 7->10으로, 8->11로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높여주는 것입니다.) gallery-k.tistory.com/150 냉동공학 - 증발압력 조정밸브 EPR 작동 원리 냉동공학 - 증발압력 조정밸브 EPR 작동 원리 대충 그려본 냉동기 계통도입니다. 고압 증발기 쪽에 그려져 있는 애가 증발압력 조정밸브입니다. EPR입니다. 1. EPR의 역할 증발압력 조정밸브는 gallery-k.tistory.com 증발기가 냉매액을 냉매증.. 2020. 11. 11.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열교환기와 액분리기가 있는 경우 냉동공학 - 증기압축 1단압축 냉동사이클에 열교환기와 액분리기가 있는 경우 의 계통도와 Ph선도입니다. 열교환기는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에 있습니다. 액분리기는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있습니다. 열교환기는 말 그대로 열교환을 해줍니다. 액분리기는 증발기에서 나오는 냉매액을 압축기로 넘어가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열교환기와 액분리기가 있을 때는 열평형으로 문제를 풉니다. 열평형은 두 군데에서 일어납니다. '열교환기' 와 '압축기 직전' 입니다. 일단, 열교환기와 액분리기가 있을 때의 각 구간에서 냉매순환량을 알아보겠습니다. 1. 각 구간에서 냉매순환량 G는 전체 냉매순환량입니다. Gg는 냉매증기의 냉매순환량입니다. G0은 냉매액의 냉매순환량입니다. (뒤에도 나오지만, 9->1에서의 냉매상태는 냉매.. 2020. 11. 11. 냉동공학 - 증기압축 냉동사이클, 2단압축 1단, 2단팽창, 중간냉각기 냉동공학 - 증기압축 냉동사이클, 다단압축, 2단압축 냉동사이클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의 1단압축 사이클은 냉매의 증발온도가 낮아지면 압축비가 커지게 됩니다. 압축비가 커지면 토출가스 온도가 높아져 체적효율이 낮아지고 냉동능력이 감소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이클이 다단압축 냉동사이클입니다. 보통 압축비가 6이 넘어가면 2단압축사이클, 압축비가 20이 넘어가면 3단압축사이클을 사용하여 압축비를 줄여줍니다. 2단압축 냉동사이클 특징 (2단압축 1단팽창, 2단팽창 사이클은 계산식이 똑같습니다.) 2단압축 1단팽창은 팽창밸브 1개만 증발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2단압축 2단팽창은 팽창밸브 2개가 증발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1. 두 대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매증기를 두번 압축합니다. 2.. 2020. 11. 11.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SI 단위 총 정리 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SI 단위 총 정리 공조냉동기계기사 단위를 정리해봤습니다. 시험이 Si단위로 바뀌어서 귀찮아졌네요 (사실 그냥 4.19를 곱하면 되는 애들이 많긴 합니다.) 기본 1kg은 원칙 상 kgf입니다. 편의를 위해 kg으로만 표현합니다. 건공기a (공기) 1. 비중량 2. 비용적 비용적은 비중량의 역수입니다. 3. 정압비열 수증기w (물) 1. 비중량 수량을 구할 때 L와 m^3으로 단위장난을 치는 문제가 나옵니다. 2. 밀도 3. 증발잠열 0도 물의 증발잠열은 외기잠열량을 구할 때 사용합니다. 0도 얼음의 증발잠열은 30도의 음식을 -9도로 얼렸을 때 냉동능력 산출할 때 사용합니다. 4. 정압비열 공기의 열량 이렇게 외기가 방으로 들어올 때 사용합니다. 1. 공기의 현열량 G의 단위는 [.. 2020. 11. 9. 냉동공학 - 코일과 열교환기, 코일 단수, 열수, 전면적, 정면면적, 전열면적 냉동공학 - 코일과 열교환기, 코일 단수, 열수, 전면적, 정면면적, 전열면적 gallery-k.tistory.com/137 냉동공학 - 코일의 대향류, 평행류, 산술평균온도차, 대수평균온도차 공조냉동 - 코일의 대향류, 평행류, 산술평균온도차, 대수평균온도차 대향류와 평행류 응축기 근처를 지나는 냉각수 코일이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대항류는 전달 열량이 냉각수 코일열량과 gallery-k.tistory.com 코일은 보통 이렇게 공기를 냉각시킵니다. 얘는 평행류입니다. 같은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대향류는 공기와 물의 방향이 반대입니다. 코일의 단수와 열수 코일은 보통 냉각수로 주변 공기의 열을 뺏어줍니다. (가열코일은 반대로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냉각시켜주면 너무 효율이 낮기 때문.. 2020. 11. 7. 냉동공학 - 냉매의 조건 냉동공학 - 냉매의 조건 냉매의 조건 ㄱ. 증발잠열이 커야 한다. 증발잠열은 여기입니다. 냉동부하입니다. 증발잠열이 크면 냉동부하가 커지므로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ㄴ. 액화와 증발이 쉬워야 한다. 냉매는 액화와 증발이 쉬워야 합니다. 에너지를 쉽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ㄷ. 응고점이 낮아야 한다. 쉽게 응고되면 안됩니다. 응고가 되버리면, 즉 고체상태가 되버리면 액화와 증발이 어려워집니다. ㄹ. 임계점이 높아야 한다. 임계점은 여기입니다. 임계점 이상에서는 아무리 압력을 가해도 액화되지 않기 때문에 액화가 어려워진다. 임계점이 낮으면 응축기에서 냉매가스가 액화되지 않는다. 냉매는 액화가 쉬워야 하기 때문에 임계점이 높아야 합니다. ㅁ. 냉매증기의 비열이 높아야 한다. 비열은 물질의 온도.. 2020. 11. 6. 냉동공학 - 핫가스 제상방식 원리 및 구조, 제상방식의 뜻 냉동공학 - 핫가스 제상방식 원리 및 구조, 제상방식의 뜻 핫가스 제상방식 증발기 냉각관 표면에 서리가 생길 때 핫가스를 증발기로 보내서 서리를 녹이는 것을 제상이라고 합니다. 이 때 핫가스는 압축기나 응축기에 의해 생긴 뜨거운 증기를 사용합니다.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고 응축기에서 바이패스해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수도 있습니다.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뜨거운 증기를 빼낼 때의 계통도입니다. 증발기는 낮은온도로 작동하기 때문에 서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hot gas로 증발기에 생긴 서리를 녹이고, 녹은물은 액분리기를 만나 증발기로 돌아갑니다. 제상방식 1. 팽창밸브를 닫습니다. 이 팽창밸브가 자동온도 팽창밸브이면은 자동으로 닫힙니다. (이럴 때는 전자벨과 함께 있습니다... 2020. 11. 5. 냉동공학 - 코일의 대향류, 평행류, 산술평균온도차, 대수평균온도차 공조냉동 - 코일의 대향류, 평행류, 산술평균온도차, 대수평균온도차 대향류와 평행류 응축기 근처를 지나는 냉각수 코일이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대항류는 전달 열량이 냉각수 코일열량과 반대의 흐름으로 흐릅니다. 그래프로 그리면 온도는 평행하게 됩니다. 평행류는 전달 열량이 냉각수 코일열량과 같은 흐름으로 흐릅니다. 그래프로 그리면 좁아지는 모양이 나옵니다. 온도차 구하기 보통 응축온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이러한 그래프가 나옵니다. 이 그래프를 그려서 전달열량의 온도차 tm을 구하게 됩니다. 구하는 방법에는 산술평균온도차와 대수평균온도차가 있습니다. 1. 산술평균온도차 문제에서 산술평균온도차를 사용하여 구하시오 라는 말이 나오면 이 공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대수평균온도차 문제에서 어떠한 조건도 나오지 않았.. 2020. 11. 4. 공조냉동 - 열 전달 (평면, 원통) 열통과율, 열관류율 공조냉동 - 열 전달 (평면, 원통) 열통과율, 열관류율 공조냉동 기계기사 필기에는 거의 안나오지만 실기에서는 필수로 나오는 개념입니다. 평면 열 전달 1. 열 평형 벽을 통과하는 모든 열전달은 같은 양입니다. 모두 같은 값을 가집니다. 2. 전도 접하고 있는 물체 간 열전달 입니다. 그림상에서는 벽1과 벽2입니다. 3. 대류 접하고 있는 유체와 고체 간 열전달 입니다. 그림상에서는 실외와 벽, 실내와 벽입니다. 4. 전체 실외에서 실내로 통과하는 전체 열량입니다. 1번에서 벽을 통과하는 모든 열량은 값이 같다고 했습니다. 이 모든 공식을 사용해서 열전달 문제를 풀게 됩니다. 5. 열통과율(열관류율)K 파랑색으로 표현해준 열과 관련된 상수들을 하나로 모은 공식입니다. 값을 구한 후 역수값을 취해주시면 됩.. 2020. 11. 2. 공기조화 - 공기의 상태 별 SI 단위 공기조화 - 공기의 상태 별 SI 단위 공조냉동기계기사 시험이 2020년부터 SI단위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올해 필기시험 본거도 다 SI단위로 나왔더라구요 (규정 안보고 가서 왜그러나 했습니다.) mks단위로 공부하셨던 분들은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1. 건공기 비중량 비체적 정압비열 엔탈피 2. 수증기 0˚c포화액의 증발잠열 정압비열 엔탈피 3. 습공기 엔탈피 2020. 10. 24. 공기조화 - 방열기 의미, 배관에서 방열기 도시기호 읽는 법 공기조화 - 방열기 의미, 배관에서 방열기 도시기호 읽는 법 방열기는 radiator 라디에이터, 따뜻하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제가 학교다닐 때 창가 밑에 4대 정도 나란히 있었는데 작년에 한국사 시험 보러 간 고등학교에는 라디에이터가 없더라구요 이렇게 또 세대차이가 생기나 봅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상가 화장실에도 있습니다. 배관에서 방열기를 표현할 때 나오는 기호가 있습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뭐 기능사에는 이걸 읽는 문제가 나왔는데 기사에서는 이걸 보고 배관을 설계해야 합니다. 맨 위부터, 30은 쪽수 입니다. 3-650에서 3은 3세주, 기둥 개수입니다. 650은 650mm^2, 방열기 높이입니다. 25x20에서 25는 25A 입구 관경입니다. 20은 20A 출구 관경입니다. 그림으로 표현해 .. 2020. 10. 22. 냉동공학 - 증기압축사이클 응축온도, 증발온도, 과열도, 과냉각도 증가 냉동공학 - 증기압축사이클 응축온도, 증발온도, 과열도, 과냉각도 증가 구간 별 온도 증가 시 상태 변화 -실기 기출문제 증기압축사이클의 ph선도, Ts선도입니다. 응축온도, 증발온도, 과열도, 과냉각도가 증가했을 때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응축온도 상승 2. 증발온도 상승 3. 과열도 4. 과냉각도 1. 응축온도 상승 응축온도가 상승했을 때의 특징입니다. ㄱ. 토출온도 증가 ㄴ. 압축일량 증가 ㄷ. 냉동효과 감소 ㄹ. 성적계수 감소 ㅁ. 압축기 흡입가스 비체적 무관 응축온도가 상승하면 증기냉동 ph선도 그래프는 이렇게 됩니다. ㄱ. 토출온도 증가 응축온도가 상승했을 때 증기압축사이클의 TS선도는 이런 모양이 됩니다. 변형된 T2가 기존의 T2값보다 높은 값을 가지게 됩니다. ㄴ. 압.. 2020. 8. 29.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