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부동산학개론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시장의 뜻과 유형, 특성별 정리 | 기본개념 정리 (1)

by 버니케이 2025. 3. 5.
반응형

 

 

📌 부동산시장


✅ "부동산이 사고팔리는 곳"
✅ "비슷한 종류의 부동산들이 비슷한 가격으로 거래되는 구역"
✅ "사람들이 어떻게 경제활동을 할지, 그리고 얼마까지 지불할 수 있는지에 따라 땅을 어떻게 쓸지 결정하는 시장"

 

⭐부동산시장은 사람들이 부동산을 사고팔고, 그 가격이 형성되는 곳이면서,

어떤 사람들이 어떤 가격으로 땅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곳

 

 

 

 

 

📌 부동산시장 유형

 

✅ 완전경쟁시장 : 일반재화시장

✅ 불완전경쟁시장 : 부동산시장 (완전경쟁시장을 전제로 시장분석 가능)

 

완전경쟁시장 : 문구점 불완전경쟁시장 : 부동산
참여자수: 판매자, 구매자 ↑- 다수가 공구 가능
동종동질 - (지우개는 어딜가도 지우개)
진입장벽 낮음, 이탈도 쉬움
정보공개: 완전공개 - 고급정보없음 => +a 없음
소액자금으로 빈번하게 구매, 가격왜곡없음

참여자수
: 판매자, 구매자 ↓ - 사적활동, 개인간 거래

동종이질 - (같은 아파트 124평이랑 12 24평이랑 다름)
진입장벽 높음, 이탈도 어려움
정보공개: 불완전 공개 => +a 있음
고가로 적게 구매, 가격왜곡 ↑

 

 정보얻을 때 비용유무로 시장완전성 구분! 

 

 

✅ 물리적 관점 : 이질적 재화

1층 아파트와 12층 아파트처럼, 물리적으로 다른 특징을 가진 재화.

일물일가 법칙(같은 물건은 같은 가격이 되어야 한다는 법칙)이 성립안됨 

=> 불완전 주택 시장이라고 할 수 있어.

(즉, 같은 아파트라도 층수나 위치에 따라 가격 차이가 커지는 시장)

✅ 주택 서비스 관점 : 동질적 재화

모든 주택은 주거목적!!

=> 완전경쟁시장처럼 분석 가능 

(즉, 가격이나 품질이 비슷한 주택들이 많아지면 경쟁이 일어나 가격이 조정되는 시장)

 

 

 

📌 부동산시장 특성

국지성(지역성)
-> 부동성
고정된 위치 때문에, 지역의 경제 상황이나 환경, 개발 상태에 따라 부동산의 가치가 달라짐 
지역마다 수요와 공급의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가격도 지역별로 차이남 


(23)지역의 경제적,사회적, 행정적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고 수요공급도 그 지역 특성의 영향을 받음

(22)같은 유형의 부동산이라도 위치에 따라 완전히 다른 시장 형성

거래의 비공개성(은밀성)
-> 개별성
부동산은 마트진열이 아님 - 정보얻으려면 비용
부동산상품의 비표준화성
-> 개별성
부동산은 일물일가x
대량생산x
시장의 비조직성(집중통제의 곤란)
-> 개별성
부동산은 여기저기 퍼져있어서 유통망 조직x
(조직화 곤란)
수급조절의 곤란성
-> 부증성
공장에서 뚝딱x (23)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 부동산시장은 수요공급 조절 장기간이 소요됨
=> 토지의 물리적 공급이 완전비탄력적이됨
단기적으로 가격형성 왜곡
매매기간의 장기성 돈준다고 바로 못삼
단기적으로 가격형성 왜곡
법적 제한과다 공적제한 -> 부동산시장기능 왜곡
단기적으로 시장수요조절 가능
진입장벽의 존재 거래비용↑+ 고가성
-> 자금조달가능성(신용, 대출, 월급…) 시장참여자에게 영향 -> 진입장벽 -> 소수참여
자금의 유용성과 밀접한 관계 거래비용↑
 
+ 비가역성 한번 짓고나면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 힘듦 (공장짓다가 가게로 못바꿈)
의사결정지원
중요 - 사전에 보고 분석해야됨

 

 

 

 

📌 부분시장과 분화현상 

 

부분시장(하위시장)  : 

- 개별시장과 전체시장의 중간규모
- 부동산 위치,,용도에 따라 부분시장 형성

 

시장의 분화현상 

- 부분시장별로 시장불균형 발생 -> 서울아파트에서도 강남 강서 강북 이 불균형
- (29)분화현상은 경우에 따라 부분시장별로 시장의 불균형 초래

 


🫢예시
 개별시장(특정 개별 부동산의 시장)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101 10층 아파트 시장
 부분시장(지역별, 용도별, 특성별로 나눈 시장)
서울 아파트 시장
 전체시장(부동산시장 전체)
한국의 부동산 시장 전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