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부동산학개론

[부동산시장론] 여과과정(하향여과, 상향여과)과 장단기별 시장변화 | 기본개념 정리 (3)

by 버니케이 2025. 3. 7.
반응형

 

 

📌 주택시장의 여과과정 (Filtering Process) 

"주택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계층이 거주하게 되는 과정!"
"새로운 주택이 공급되거나 기존 주택이 낡아지면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이 이동하는 현상!"

💡 , 부동산 시장에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고급 주택중간 주택저렴한 주택'으로 변화하거나, 반대로 '낡은 주택리모델링고급 주택'으로 변화할 수도 있음!



 


🔹 1. 하향여과 (Downward Filtering)

 "신축 주택낡은 주택저소득층으로 이동!"

 

"새 아파트가 지어지면서, 기존 주택이 점점 저소득층이 사는 주택으로 변하는 과정!"
", 시간이 지나면서 고급 주택이 낡아지고, 가격이 하락하여 저소득층이 거주하게 되는 현상!"

📌 하향여과 과정
1단계: 새 고급 아파트가 건설됨 (고소득층이 입주)
2단계: 시간이 지나면서 신축 아파트가 더 많이 공급됨
3단계: 기존의 오래된 아파트는 가격이 떨어지고, 중산층·저소득층이 입주
4단계: 더 오래되면 임대주택이나 저소득층 거주지로 변함

📌 예시
서울 강남 신축 아파트고소득층 거주
20~30년 지나면 노후화가격 하락중산층 입주
더 오래되면 임대주택·저소득층 거주지역으로 변화

💡 , "새로운 주택이 공급되면서 기존 주택이 점점 저렴해지고, 저소득층이 거주하게 되는 현상!"



 


🔹 2. 상향여과 (Upward Filtering)

 "낡은 주택리모델링고급 주택으로 변화!"

 

"오래된 주택이 재개발·리모델링 등을 통해 다시 고급 주택으로 변화하는 과정!"
", 저소득층이 거주하던 낡은 주택이 새롭게 변하면서 고소득층이 거주하게 되는 현상!"

📌 상향여과 과정
1단계: 낡고 오래된 주택이 있음 (저소득층 거주)
2단계: 개발이 이루어져 리모델링·재건축 진행
3단계: 새로운 고급 주택이 되면서 가격 상승
4단계: 고소득층이 입주하게 됨

📌 예시
서울 용산, 성수동의 오래된 빌라·공장 지역리모델링 & 재개발
고급 아파트·상업시설이 들어서면서 부촌으로 변화
저소득층이 떠나고, 고소득층이 거주

💡 , "낡은 주택이 리모델링·재건축을 통해 고급화되면서, 고소득층이 거주하게 되는 현상!"




 

📌 여과(Filtering)의 전제조건

✅  하향여과(Downward Filtering)의 전제조건

 

1️⃣ 소득 외의 다른 조건(입지, 환경 등)이 같아야 함

  • 예를 들어, 같은 지역 내에서만 비교해야 공정한 분석이 가능.

2️⃣ 완전경쟁시장이라는 가정

  • 단기적으로는 초과이윤(많은 이익)이 생길 수 있지만,
  • 장기적으로는 경쟁이 많아지면서 정상적인 이윤만 남음.

3️⃣ 너무 오래된 주택은 정책적으로 신축 금지.

 

✅  상향여과(Upward Filtering)의 전제조건

 

1️⃣ 주택 개량 비용 < 개량 후 가치 상승 비용

  • , 집을 리모델링하는 데 드는 비용보다, 리모델링 후 집값이 더 올라야 한다!!
  • (하지만 항상 그런 건 아니고,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단기별 시장 변화

 고가주택 시장 (비싼 집 시장)  저가주택 시장 (싼 집 시장)
 단기적으로
1️⃣ 고가주택이 노후화(하향여과)  시간이 지나면서 고가주택이 점점 줄어듦
2️⃣ 그러면 아직 상태가 괜찮은 고가주택의 희소성이 커짐
3️⃣ 그래서 고가주택 임대료가 올라가고, 초과이윤(많은 이익)이 발생
 단기적으로
1️⃣ 저가주택에 대한 수요 증가  저가주택의 임대료 상승
2️⃣ 그러면 초과이윤(많은 이익)이 발생
 장기적으로
1️⃣ 신규 주택 공급자들이 시장에 진입  새로운 고가주택이 계속 공급됨
2️⃣ 그러면 고가주택 수가 늘어나면서 임대료 하락
3️⃣ 결국 초과이윤이 사라지고 시장이 원래대로 돌아옴
 장기적으로
1️⃣ 너무 낡은 저가주택은 신축이 금지됨  점점 노후화(하향여과) 진행
2️⃣ 노후화가 심해지면서 저가주택의 임대료가 다시 하락
3️⃣ 초과이윤이 사라지고, 결국 고가주택 공급도 원래대로 돌아오게 됨

 

 

 

 

📌 핵심 정리!

하향여과: 고가주택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낡아서 저가주택이 되는 현상

상향여과: 기존 저가주택이 리모델링 등으로 업그레이드되어 고가주택이 되는 현상

고가주택 시장: 단기적으로는 노후화로 인해 희소성이 커지지만, 장기적으로는 신규 공급이 늘어나서 가격이 조정됨

저가주택 시장: 단기적으로는 수요가 많아져서 가격이 오르지만, 장기적으로는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가격이 다시 낮아짐

💡 쉽게 말하면, 부동산 시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격과 공급이 변하고, 결국 시장은 균형을 찾는 구조!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