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쉽게 말하면,
📌 주택시장 특징
✅ 이질성이 크다 🏠
• 같은 아파트라도 1층과 12층은 다르게 평가 (조망권, 채광, 소음 차이 등)
• 그래서 주택은 완전히 똑같은 상품이 존재하기 어려운 시장
✅ 복합적인 서비스 제공 🏗
• 주택은 단순히 건물만 제공하는 게 아니라, 주거 환경, 관리 서비스, 편의시설까지 포함된 상품
✅ 공공성이 높다 🏛
• 주택은 모든 사람이 필수로 필요한 재화라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는 경우가 많음
• 예를 들어, 입지 선정(어디에 지을지), 분양 규제, 전월세 정책 등에서 정부가 개입해 시장을 조정함
• 그래서 주택을 너무 상업적으로 마케팅하거나, 전월세 광고를 과하게 하는 것도 제한될 수 있음
✅ 지역적 특성이 크다 📍
• 주택시장은 그 지역의 수요에 영향을 많이 받음.
• 예를 들어, 서울과 지방은 같은 아파트라도 가격 차이가 크고, 수요도 다름.
• 그래서 적정한 가격을 정하기 어려움
📌 주택유량 vs 주택저량
=> 주택유량이 많아지면, 시간이 지나면서 주택저량도 늘어나게 돼! 😊
✅ 주택유량 (Flow of Housing)
- "일정 기간 동안 새로 공급되거나 없어진 주택의 양"
- 흐르는 개념(시간에 따라 변화)
- 예시:
• "올해 새로 지어진 아파트 10만 채"
• "올해 철거된 노후 주택 5천 채"
✅ 주택저량 (Stock of Housing)
- "현재 존재하는 모든 주택의 총량"
- 고정된 개념(한 시점에서 존재하는 주택 수)
- 예시:
• "대한민국에 현재 존재하는 주택 총 2,000만 채"
• "서울에 있는 모든 아파트 수"
💡 쉽게 말하면,
구분 | 주택유량 (유입·유출) | 주택저량 (현재 존재하는 총량) |
개념 | 일정 기간 동안 새로 공급되거나 사라진 주택 | 특정 시점에서 존재하는 모든 주택의 총량 |
예시 | "올해 신규 공급된 아파트 10만 채" | "현재 대한민국의 총 주택 수 2,000만 채" |
특징 | 변화하는 개념 (흐름) | 고정된 개념 (축적) |
- "주택유량"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주택의 흐름
- "주택저량"은 현재 존재하는 전체 주택의 양
📌 주택시장분석 시 고려해야 할 점
생산공급은 단기적으로 증가하기 어려움. 따라서 저량 개념으로 공급량을 분석해야 하며 특정 지역의 주택시장 공급량 분석 시, 장기적으로 저량과 유량을 함께 사용해야 함.
✅ 1. 생산공급은 단기적으로 증가하기 어려움
→ 부동산(특히 주택)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짧은 기간 안에 공급을 늘리는 것이 어려움
→ 아파트를 새로 짓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 수요가 늘어나도 공급을 바로 늘릴 수 없음.
✅ 2. 저량 개념으로 공급량을 분석해야 함
→ **저량(Stock)**은 일정 시점에 존재하는 전체 주택 수
→ 단기적으로 공급을 늘릴 수 없으니까, 주택 공급을 볼 때 전체 주택의 양(저량)을 기준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뜻!
✅ 3. 특정 지역의 주택시장 공급량 분석 시, 장기적으로 저량과 유량을 함께 사용
→ **유량(Flow)**은 일정 기간 동안 새로 공급되는 주택 수를 의미
→ 단기적으로는 **저량(기존 주택 수)**을 기준으로 시장을 분석해야 하지만,
→ **장기적으로는 유량(새로 공급되는 주택)**도 고려해야 더 정확한 시장 분석이 가능함!
👍 정리하면
부동산 공급은 단기간에 확 늘릴 수 없음.
그래서 단기적으로는 저량(기존 주택 총량)을 기준으로 시장을 분석해야 함.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유량(새로 공급되는 주택)도 함께 고려해야 함.
단기적인 분석 → "현재 서울의 아파트 총량이 몇 채인지?"
장기적인 분석 → "올해 분양될 아파트(유량)까지 포함해서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 주택소요 vs 주택수요
주택소요 | 실제로 주택이 필요한 양 인구수, 가구 수 등을 기준으로 산정되는 객관적인 주택 필요량 |
주택수요 | 주택을 구매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실질적인 시장 수요 구매력을 동반한 실제 시장에서의 수요 |
주택소요 vs 주택수요 |
신혼부부가 주택이 필요한 상황(주택소요)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실제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주택수요로 전환되지 않음. |
'공인중개사 > 부동산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시장론] 여과과정(하향여과, 상향여과)과 장단기별 시장변화 | 기본개념 정리 (3) (0) | 2025.03.07 |
---|---|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시장의 뜻과 유형, 특성별 정리 | 기본개념 정리 (1) (0) | 2025.03.05 |
[부동산경제론] 수요량의 변화, 수요의 변화에 따른 수요곡선 | 기본개념 정리 (2) (2) | 2025.03.04 |
[부동산경제론] 부동산의 수요와 수요곡선 | 기본개념 정리 (1) (5) | 2025.03.03 |
댓글